발표자 소개
General Session |
09:00~09:30
[Opening] 민첩하고 견고한 기업 환경을 위한 IT 인프라
한국IBM 유부선 상무
지속적으로 급변하는 시장 환경은 비즈니스 성공에 있어 IT의 역할을 더욱 크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는 유연성, 지속성, 보안, 데이터의 가치 실현을 통해 빠르게 비즈니스 모델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해주는 IT 역량이 기업의 성공을 위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AI가 IT 역량의 근간이 되고 있는 현대 IT 환경에서 인프라 전반을 보호하면서 비즈니스 요구에 빠르게 대응하고 지속적인 인사이트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IBM은 이와 같은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IT의 수준을 높이는 새로운 기술들을 선도적으로 출시하면서 기업들이 차별화된 비즈니스 가치를 이끌어내는데 기여해왔습니다. 여기에는 IT 환경의 근간이 되는 인프라에서부터 고객 접점의 애플리케이션까지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을 구성하는 전반적인 솔루션이 모두 포함됩니다. 이 시간에는 급변하는 비즈니스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IBM의 IT 인프라 접근 전략을 살펴보고, 클라우드와 AI의 기반이 되는 IT 인프라 솔루션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09:50~11:10
[CIO Discussion] 발 빠른 전환의 시대, 조합가능한 비즈니스로 대응하라!
[좌장]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이경상 겸직교수
- 2020~현재 남다른 미래의 창 @zoom 포럼 설립자
- 2021~현재 행정안전부 정부혁신 자문위원
- 2020~현재 산림청 ‘미래 산림포럼’, 국가철도공단 ‘그린뉴딜’, 대검찰청 자문위원
- ‘4차 산업혁명, 사람이 답이다’ 유튜브 채널 운영(구독자 3만명 이상, 조회수 400만 이상)
- ‘코로나19 이후의 미래’, ‘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정부 전략’, ‘스마트모바일 최강전략’ ‘코어컴피턴스 경영혁명’ 등 저술/자
[패널] 풀무원 김성훈 디지털혁신실 실장
- (현) 풀무원 디지털전환(DX) 리더/디지털혁신실 실장
- (전) 한국 IBM GBS 컨설턴트 및 IBM Cloud 상무
- 다양한 DX 플랫폼 정의 및 플랫폼간 데이터와 프로세스가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AI 기반의 업무 초자동화 및 비즈니스 시너지가 극대화되는 통합 운영 체계 구축 집중
[패널] KT 옥경화 IT부문 IT전략본부장
- 2020~현재 KT IT부문 IT전략본부장
- 2018~2020 KT IT부문 SW개발단장
- 2017~2017 KT IT기획실 IT전략기획담당
- 2020 국가공간정보산업진흥 공로 산업 포장(대통령 포장)
- 2020 여성공학인 산업부문 대상(산업통상자원부장관포상)
[패널] 호반건설 백종규 IT팀 상무
- 현 호반건설 IT팀 상무(호반그룹 IT 총괄)
- 2019~2020 레드햇 코리아
- 2015~2019 휴렛팩커드 코리아
- 2007~2009 알카텔-루슨트 코리아
- 20여년간 다양한 산업군(반도체/제조/IT/건설)의 IT운영 및 컨설팅/인프라 현대화 및 디지털전환 수행
11:10~11:40
[Keynote 1] AI/HPC 빅데이터를 위한 데이터 레이크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권동수 전문위원
데이터에서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흐름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최근 데이터 중심의 혁신이 산업 전반으로 가속화되면서 ‘데이터 레이크(Data Lake)’가 주목 받고 있습니다. 산재된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추출하고 분석해 의사 결정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얻는다면 디지털 혁신은 자연스럽게 이룰 수 있습니다.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은 다양한 솔루션과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기업이 완벽한 디지털 혁신의 밑그림을 그리고 현실화할 수 있는 데이터 레이크 전략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1:40~12:10
[Keynote 2] 로우코드 통합 UI 개발 플랫폼을 활용한 생산성 200% 향상 전략
비아이매트릭스 배영근 대표이사
코로나 펜데믹 이후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전 산업군에서 다양한 DT, DX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개발자 수요가 폭증하였으며, 많은 기업들은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개발자를 채용하고 양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코딩을 최소화하여 시스템을 개발하는 로우코드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가트너도 10대 전략기술로, 21년에는 Intelligent Composable Business를, 22년에는 Composable Application을 선정하며 디지털 전환에 있어 서비스 출시 시간을 단축하고 프로그램 코드를 쉽게 재사용할 수 있는 RPA나 로우코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비아이매트릭스의 AUD플랫폼은 업무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SQL이나 JAVA 코딩을 자동화해 주는 로우코드 솔루션으로, 코딩을 최소화하여 비개발자(시민개발자)도 쉽게 업무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AUD플랫폼의 ▲업무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DB 데이터 처리를 위한 SQL 코딩 자동화 ▲웹 UI개발을 위한 HTML5화면 개발 자동화 ▲이벤트 설정 및 프로세스 적용을 위한 JAVA 프로그래밍을 자동화 기술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업무시스템 구축 사례를 소개합니다. 로우코드 기술을 활용하여 쉽고 빠르게 업무시스템을 개발하여 개발 생산성이 얼마나 향상되는지,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즉각 대응하도록 운영과 유지보수가 얼마나 쉽고 용이한지 직접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3:00~13:30
[ISSUE 1] 조합 가능한 비지니스, 디지털서비스 플랫폼으로 @Scale DX 실현
서비스나우 김규하 대표이사
불확실성의 시대, 비지니스 리더들은 지속 가능성과 속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조합 가능한(Composable) 아키텍쳐는 밸류체인의 단절, 지속 가능성을 위한 제약과 변화, 그리고 디지털 리더들과의 경쟁과 함께 레거시 업무들에 대한 계속적인 전환 노력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조합 가능한 비지니스, 조합 가능한 아키텍쳐를 위해서는 기존의 IT서비스, 클라우드 네이티브, 하이브리드 환경에서 SaaS 도입에 이르는 다양한 환경과 DX 노력들을 하나의 경험과 기술 체계로 엮어주는 상위 차원의 플랫폼을 필요로 합니다. 이러한 플랫폼은 비단 기술 체계에 대한 대응 뿐 아니라, 사내의 현업, 기술 인력들이 쉽게 디지털 전환 업무를 직접 수행 할 수 있도록 하는 역량을 제공해야 합니다. 최신 기술에 능숙한 디지털 네이티브 개발 인력은 디지털 리더들에게도 희소한 자원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서비스나우의 디지털 서비스 플랫폼은, 하이브리드 IT, 클라우드 네이티브, SaaS로 구분되는 디지털 전환 노력들을 하나의 End to End 서비스 경험으로 연결하고, 워크플로우 자동화와 No Code–Low Code 도구들을 통해 현업 주도로 디지털 전환을 확산할 수 있도록 합니다. IT 워크플로우 회사에서 시작한 서비스나우가 어떻게 지난 20여년 동안 경이적인 30% 이상의 연간 성장률로 성장해왔는지, 모든 글로벌 선도 기업에서 디지털 서비스 플랫폼의 표준이 되었는지 사례를 통한 소개를 드립니다.
13:30~14:00
[Issue 2] 상호연결 기반 아키텍처: 가장 효과적인 디지털 인프라 운영 방안
에퀴닉스 코리아 장혜덕 한국대표
소프트웨어 기반 네트워크로 연결된 Platform Equinix는 제품이나 솔루션이 아닌, 기업이 전 세계에서 디지털 비즈니스를 펼쳐나갈 수 있는 발판입니다. 네트워크 서비스, 콘텐츠 및 미디어 서비스, 클라우드 및 IT 서비스를 비롯해 총 10,000개 이상의 서비스 제공업체로 구성된 생태계 안에서 상호연결을 통해 비즈니스가 이뤄집니다. 클라우드 도입으로 인해 늘어나고 있는 IT 인프라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인프라와 가상 인프라를 적절히 섞어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하고, 에퀴닉스는 이를 위한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 전략을 제시합니다. Platform Equinix의 역사와 최신 고객 사례를 통해 2022년을 위한 디지털 인프라 전략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6:40~17:10
[Closing] Product as a Service, 고객의 삶에 제품을 연결하라!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이경상 겸직교수
2022년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의 핵심 화두 중 하나는 ‘어떻게 DT를 통해 신성장 동력을 창출할 수 있을까?’입니다.
Product as a Service는 고객에게 물리적 제품과 디지털 서비스의 조합을 통해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제품 플랫폼 전략입니다. 이제 기업들은 제품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데이터를 수익원(직접 및 간접)으로 전환하는 Data Fabric 중심의 데이터 창출-융합-적용의 고기능 프로세스를 혁신해야 합니다.
본 세션에서는 PaaS의 성공을 위한 6가지 핵심 전략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1. MOT(진실의 순간)을 확대하고 차별화하라!
2. 개인 데이터에 기반한 Digital CX가 핵심 경쟁력이다!
3. Value Network 기반으로 생태계를 확장하라!
4. 모으고 연결하고 확장하며 플랫폼을 만들어라!
5. 1-9-90, 고객의 1%를 조직화하고 활성화하라!
6. Total Experience 관점으로 추진하라!
|
Track I – Cloud |
14:20 ~ 14:50
비즈니스 성장을 이끄는 고객 서비스의 미래와 가치 창출 전략
젠데스크 코리아 김지현 대표
수많은 기업이 2022년 목표로 고객 서비스를 1순위에 올려 놓았지만, 모두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고, 인력과 프로세스에 전략적으로 투자함으로써 비즈니스 전반에 걸쳐 서비스 우선 사고방식을 도입하고 실행하기 위한 통찰력과 구체적인 방안을 공유합니다.
14:50~15:20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내 포괄적 가시성 확보를 통한 성공적인 디지털 혁신 가속화 방안
기가몬 코리아 유병수 상무
데이터의 가시성은 디지털 혁신을 이루고자 하는 모든 기업에게 중요한 필수 과제입니다. 하지만 물리적 환경, 가상화 및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비롯한 하이브리드 인프라 전반에 존재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와 툴, 보안 사각 지대로 인해 포괄적인 가시성을 확보하는 것은 점차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기존 네트워크 가시성 솔루션으로는 동적인 하이브리드 인프라에서 자동 분석을 통해 유연하게 확장하는데 한계가 있고,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보안 체계는 애플리케이션 수준의 원격측정(텔레메트리, telemetry) 정보에만 의존해 중요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가시성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본 세션에서 기가몬(Gigamon)은 업계 최초로 모든 클라우드 네트워크에서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동적 데이터를 분석해 가시성 격차를 해소하고, 포괄적인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5:20~15:50
디지털 퍼스트 시대를 선도하는 크리에이티브 경제
Adobe 김현지 솔루션컨설턴트
‘위드 코로나’로 일상 회복에 대한 기대 속에서 디지털과 크리에이티브의 영향력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산업계 전반에서 비즈니스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고, 경제가 회복되면 보다 많은 기회들이 열리고, 다양한 영감의 교류 확대로 ‘크리에이티브 경제’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 기대됩니다. 팬데믹과 함께한 지 어느덧 2년, 산업계 전반에서 고객 경험 향상과 디지털 전환에 적극 뛰어든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간의 간극이 눈에 띄게 벌어지고 있습니다. 스마트해지는 고객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신기술 도입 그 이상이 필요합니다. 본 강연에서는 디지털 퍼스트 시대를 선도하는 여러 업계에서의 진화하고 있는 디지털 경제 시대의 다양한 사례와 제언을 공유합니다.
15:50~16:20
합리적 SAP ERP 클라우드 전략 및 실행방안
한국리미니스트리트 이용행 전무
SAP가 2015년 S/4HANA 라는 새로운 ERP 플랫폼을 출시한 이후, 많은 SAP사용 고객들이 S/4HANA로의 전환을 고민해오고 있습니다. COVID 팬데믹으로 인한 경기 위축에도 불구하고, SAP가 발표한 2025년 기존 버전에 대한 유지보수 종료 정책으로 인해 S/4HANA 전환에 대한 고민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SAP ERP사용고객을 위해, 현명한 S/4HANA 도입방안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가장 비용효율적인 SAP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또한, CLOUD FIRST 정책의 일환으로 SAP가 2021년 출시한 RISE WITH SAP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및 다른 CLOUD 옵션과의 비교를 통해서, SAP 사용 기업들이 가장 합리적인 클라우드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리미니스트리트의 3자 유지보수 서비스는 SAP가 제시하는 클라우드 전략보다 더 고객중심의 합리적인 방안을 가능케하는 서비스입니다. 리미니스트리트의 SAP서비스를 통해 기업들은 비용효율적이고, 합리적인 SAP 클라우드 전략을 수립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
Track II - Data |
14:20~14:50
디지털 혁신을 위한 Application 데이터 플랫폼 – MongoDB
MongoDB 김준 상무
기업의 경쟁력과 디지털 혁신을 위한 데이터 플랫폼을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개발자들이 가장 원하는 데이터 베이스인 MongoDB는 이번 세션을 통해 디지털 혁신을 위한 Application Data Platform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광범위한 데이터 요건을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4:50~15:20
DBMS의 새로운 혁신, 오픈소스 DBMS의 리더 EDB
EDB Korea 이강일 지사장
비싸고 부담스러운 DBMS에 종속되지 않는 오픈소스 기반의 DBMS을 찾고 계십니까?
오라클 DB에서 빠르고 손쉽게 마이그레이션이 필요하십니까?
컨테이너를 통한 클라우드로 DBMS를 이전하고 싶으십니까?
엔터프라이즈 디비(EDB)는 KT, 카카오뱅크 및 다수의 글로벌 리더 기업들이 선택한 PostgreSQL기반의 대표 DBMS 기업입니다. 본 행사를 통해 앞서가는 기업들이 EDB를 선택한 이유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5:20~15:50
‘보이게 일하는 것’이 필수인 시대, 협업툴 먼데이닷컴의 성공 레시피
SPH 이재빈 먼데이닷컴 팀장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DT)란 키워드를 가지고 수년간 변화를 해왔던 기업들은 코로나19라는 펜데믹을 겪고 나서야 인적자원들을 위한 업무 소프트웨어와 이들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 구성을 부랴부랴 시작하였습니다.
펜데믹은 재택근무, 원격근무를 일상으로 만들었고 위드코로나 시대의 시작은 비대면 업무환경이 잠깐의 불편함을 감수하면 되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지속적인 과제이자 트렌드로서 워크 트랜스포메이션의 필요성을 극대화하였습니다.
지난 3년간 약 1000개 국내 기업들과 이런 과제를 가지고 만나오며 ‘보이게 일을 하는 것’의 중요성, ‘업무 히스토리를 남기는 것’의 필요성을 어떻게 협업툴을 통해 해결하였는지 성공적인 대표 사례를 공유하고 이 과제를 아직 안고 있는 기업들에게 가이드 및 혁신하는 팁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5:50~16:20
보험업계 첫 마이데이터 서비스 ‘교보생명’ 사례를 통한 경쟁력 확보 방안
교보생명 김은석 금융마이데이터팀장
본 세션에서는 금융마이데이터 사업의 의미 및 기대효과(보험업 관점에서)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보험 본업 및 영업채널에서의 금융마이데이터 서비스 활용방향을 살펴보며,교보생명 금융마이데이터 서비스 및 추진방향 등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Track III - Intelligence |
14:20~14:50
RPAI기반의 SmartWorkplace 구축을 통한 DX 구현
파워젠 이정규 CEO
진정한 SmartWorkplace의 구현을 위해서는 CIO가 다양한 관점에서 체계적인 중장기 DX 로드맵을 수립하고 순차적으로 RPA, OCR/ChatBot, AI를 도입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인 선택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진정한 DX를 구현해야하 합니다. 파워젠은 RPAI기반의 DX 전문기업으로서 이러한 DX로의 여정을 고객과 함께하며 고객의 고민을 해결해드리고자 합니다.
14:50~15:20
The Emerging Heroes of Hybrid Work / 왜 IT는 하이브리드 업무환경의 영웅인가?
로지텍 코리아 윤제이슨 Video Collaboration 본부장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팬데믹, 그리고 ESG 경영 등 최근의 급격한 업무환경의 변화에 맞서, IT는 직원들이 이러한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혁신적으로 번창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와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조직 구성원의 생산성(Productivity)과 핵심 인재 유지(Retention)는 모든 조직의 주요 관심사이며, 점점 더 많은 C-suite가 두 영역 모두에서 IT에 도움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직원들이 집(또는 어디에서나)에서 더 쉽게 작업할 수 있는 방법, 생산성을 높이면서도 직원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기회, 협업의 형평성을 창출하고 사람들이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게 하는 아이디어 등 하이브리드 업무환경 구축을 위한 고려사항은 무궁무진합니다. 본 세션을 통해 어떻게 IT가 생산성 있는 조직구성을 촉진하면서도 창의적으로 비즈니스 연속성을 지원하여 새로운 하이브리드 시대의 영웅이 될 수 있는지 직접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5:20~15:50
광범위한 통합 능력으로 무장한 새로운 보안 플랫폼 - Trellix XDR
Trellix Korea 김현섭 이사
기업에서는 다양한 벤더의 보안 제품들을 사용하여 운영을 하고 있으며, 일정 수준의 보안 운영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기업들 모두 겪고 있는 문제입니다.
이번 강연에서는 Gartner에서 말하는 XDR 과 XDR 도입 시 고려해야 되는 사항에 대하여 살펴보고, 다양한 벤더(클라우드, 네트워크, 이메일, 엔드포인트, 기타 보안 솔루션)에서 수집된 로그에 대하여 자동화된 대응, 클라우드와 재택 근무 환경에서의 위협 대응 및 데이터 보호, 침해 대응 관점에서의 분석, 마지막으로 전문가 부족현상을 어떻게 보완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새롭게 출발하는 Trellix XDR과 해법을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합니다.
15:50~16:20
AD를 통한 단말 간 위협전파의 실시간 탐지 및 대응
조인어스비즈 박계형 상무, 퀘스트소프트웨어 채홍소 솔루션 컨설턴트
Windows 10(또는 11)으로 대변되는 새로운 단말 환경의 변화, 진화하는 랜섬웨어, 재택근무와 같은 새로운 업무 형태의 출현은 기존의 방어 중심의 단말 보안으로는 대응하는 데 한계를 가지게 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다층 방어체계”입니다. 여기에서 핵심은 초기 감염된 단말로부터 내부로 전파되는 위협을 어떻게 빠르게 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가입니다. 특히, AD (Active Directory)로 단말이 연결된 환경에서 이러한 위협전파는 대부분 AD를 통해서 발생합니다. AD를 활용하고 있는 조직에서 실시간 위협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면 가장 중요하게 보안을 고려해야 할 요소가 바로 AD입니다.
퀘스트소프트웨어는 AD보안의 글로벌 리더로서 왜 AD보안이 필요한지 어떻게 AD보안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전략과 사례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합니다.
|
|